[경제 지표]
미국 - 2분기 실질GDP성장률 ★★★ 2.8% ▲
(예상: 2.0% 이전: 1.4%)
미국 - 2분기 GDP 물가지수 ★★ 2.3% ▼
(예상: 2.6% 이전: 3.1%)
미국 – 2분기 근원PCE가격지수 ★★★ 2.9% ▲
(예상: 2.7% 이전: 3.7%)
미국 -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 235K ▼
(예상: 238K 이전: 243K)
미국 - 6월 내구재수주 ★★ -6.6% ▼
(예상: 0.3% 이전: 0.1%)
미국 - EIA 천연가스 재고 ★ 22 ▲
(예상: 11.7 이전: 10)
미국 - 7월 캔자스시티연은 제조업생산지수 ★ -13 ▼
(예상: -5 이전: -8)
미국 - 국채 7년물 발행금리 ★★ 4.162% ▼
(이전: 4.276%); 응찰률 2.640 (이전: 2.580)
[미국 증시]
S&P500 (-0.51%) → 5,399.22
다우 (+0.20%) → 39,935.07
나스닥100 (-1.06%) → 18,830.58
러셀2000 (+1.26%) → 2,222.98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4.431% → 4.433%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87% → 4.245%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104.353 → 104.409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2397.5 → 2363.8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77.5 → 78.34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2.121 → 2.048 ▼ (전일 같은시간대비)
[미 기업소식]
메타(META) : 유럽연합, 시장 지배력 남용 혐의로 벌금 부과 (카더라)
IBM(IBM) : 실적발표 (소프트웨어 부문 매출 증가)
아메리칸에어라인(AAL) : 실적발표 (매출 전망 하향 조정)
AMD(AMD) : 젠5 라이젠 9000 시리즈 출시 1~2주 연기
덱커스(DECK) : 실적발표 (예상 상회)
(출처: 오선의미국증시라이브)
경제
●美 2분기 '깜짝 성장'…연착륙 기대 확산
25일(현지시간) 미 상무부는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속보치가
전 분기 대비 연율 2.8%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인 1.4%의 두 배이며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1%도 훌쩍 넘어선 결과이다.
상무부는 전 분기 대비 2분기에 민간 재고 투자, 소비자 지출,
기업 투자와 정부 지출 증가가 예상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 실물 경제의 3분의2를 차지하는 가계지출은 2.3% 증가했다.
반면 상무부는 주택 투자는 둔화됐고 무역 적자가 더욱 확대돼서
성장률이 일부 상쇄됐다고 밝혔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은 2분기에 2.9%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은 둔화세를 이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시장 예상치인 2.7%는 상회했지만 1분기의 3.7% 상승률에서 크게 둔화됐다.
(출처:블로터)
●비트코인 가격 일부 회복…이더리움은 ETF 출시 이후 약세
비트코인(BTC) 가격이 마운트곡스 상환 완료,
뉴욕증시 급락 등 악재를 소화하며 가격을 일부 회복했다.
반면 이더리움(ETH)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이후 하락세다.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는 보고서를 내고
"비트코인 현물 ETF에 비해 이더리움 현물 ETF는 매수세, 매도세 모두 약한 편"이라며
"현물 ETF 호재는 가격에도 선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단, 현재 이더리움 하락세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는 것은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ETF 'ETHE'의 자금 유출이다.
그레이스케일의 ETHE는 다른 이더리움 현물 ETF 상품과 달리,
기존 이더리움 신탁 상품을 ETF로 전환한 것이다.
따라서 이미 신탁상품에 투자했던 사람들이 다른 이더리움 ETF로 옮겨가거나,
자금을 빼내면서 큰 규모의 자금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
(출처:뉴스1)
증시
●코스피, 사흘 만에 반등해 2,720대 회복…코스닥 약보합
코스피가 26일 그간 낙폭에 대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장 초반 2,720대를 회복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14.34포인트(0.53%) 오른 2,724.99로 출발해 오름폭을 줄인 채 상승 중이다.
오전 10시 57분 기준 코스피는 전장보다 19.35포인트(0.71%) 오른 2,730.00이다.
앞서 코스피는 지난 24일 이후 이틀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고
특히 전날 미국 기술주 추락에 1.74% 내린 2,710.65에 장을 마쳤으나 이날 상승세로 돌아섰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28포인트(0.41%) 오른 800.57이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순매도 하고 있으며 기관은 순매수 하고있다.
코스닥 시장은
외국인과 기관이 순매수 하고 있으며 개인은 순매도 중이다.
(출처:연합뉴스)
●증권가 "현대차, 호실적에 주주환원 기대감…조정은 매수 기회"
현대차 주가가 최근 하반기 업황 우려에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양호한 실적과 주주환원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을 기대해볼 만하다는 전망이 26일 나왔다.
현대차는 올해 2분기 매출 45조206억원, 영업이익 4조2천791억원을 기록했다고 전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7%, 1% 증가한 것으로, 시장 전망치에 부합했다.
정용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글로벌 완성차들의 하반기 눈높이 하향 조정과 별개로
안정적인 실적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현대차는 GM, 포드와 달리 전기차(EV) 시장의 급랭을
하이브리드(HEV)로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하반기 실적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출처:연합뉴스)
●슈퍼사이클·트럼프 수혜까지…"물 만난 조선주, 더 오른다"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에 접어든 업황에 트럼프 트레이드 효과가 겹치면서
국내 증시에서 조선주가 일제히 상승세다.
26일 오전 10시22분 기준으로 코스피 시장에서 HD현대중공업은
전일 대비 2만200원(11.38%) 오른 19만7700원을 나타냈다.
같은 그룹 계열사인 HD현대미포(9.94%), HD한국조선해양(9.63%)뿐만 아니라
STX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HJ중공업도 눈에 띄는 강세였다.
특히 HD현대, HD현대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STX중공업은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주가 강세는 호실적의 영향과 함께 조선업이
16년만에 슈퍼사이클에 돌입한 것이 요인으로 보여진다.
또한 환경 에너지보다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내새우고 있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에 조선업종도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주가의 추가 상승이 기대되고 있다.
(출처:머니투데이)
세계
●바이든, 네타냐후 만나 "가자 휴전협상 빨리 마무리" 촉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가자지구 전쟁을 끝내고 붙잡힌 인질들을 데려올 휴전안 협상을 서두르라고 촉구했다.
백악관은 회담 후 바이든 대통령은 "남아있는 견해차를 좁혀 최대한 빨리 합의를 마무리하고
인질을 집으로 데려오며 가자지구 내 전쟁의 지속가능한 종식을 달성할 필요성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전쟁으로 인한 가자지구 내 민간인들의 인도주의 위기를 해소하고
구호물자 유입을 막는 방해물을 제거할 필요성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네타냐후 정권은 하마스의 전면 해체를 고집하고
장기적 비전인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안에도 반대하며
바이든 행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한편 네타냐후 총리는 민주당의 대선 후보직을 사실상 확정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도 별도로 회담할 예정이다.
(출처:연합뉴스)
#N잡러
#환율 #국제유가 #코스피 #코스닥 #금 #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레이스케일 #ETF
#미국 #2분기 #GDP #PCE
#현대차 #조선주 #슈퍼사이클
#현대미포 #한국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STX중공업
#바이든 #이스라엘 #네타냐후 #해리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7.30(화) 경제뉴스 (0) | 2024.07.30 |
---|---|
24.07.29(월) 경제뉴스 (0) | 2024.07.29 |
24.07.25(목) 경제뉴스 (0) | 2024.07.25 |
24.07.24(수) 경제뉴스 (4) | 2024.07.24 |
24.07.23(화) 경제뉴스 (2) | 2024.07.23 |
댓글